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3 정부3.0 10선 [2016년] ‘정부3.0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전국 실시 ‘정부3.0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는 대표적인 국민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으로 임산부(출산 가족)를 위해 마련한 서비스다. 기존에는 가정양육수당(보육료), 출산양육지원금, 다둥이 행복카드 발급, 다자녀 가구 공공요금 감면 등 출산 관련 수혜적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서비스별로 신청서를 작성하고 구비서류를 따로 챙겨 개별 기관에 신청해야 했다. ‘정부3.0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는 출생신고 시 통합신청서한장만 작성하면 신청이 가능하다. 현재 서울 은평구, 서울 성북구, 부산 금정구, 광주 서구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오는 3월 31일부터전국적으로 확대된다. 한편, 지난 6월 시행된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는 2월 15일부터사망자의 주민등록지가 아니어도 전국 어.. 2022. 4. 13. 버킷리스트 [Bucket List].... 버킷리스트 Bucket = 굴삭기의 끝에 붙어 흙, 모래 따위를 파거나 퍼 올리는 통. List = 다수의 품명(品名)이나 인명(人名) 등을 기억하거나 점검하기 쉽도록 특별한 순서로 적어 놓은 것 죽기 전에 꼭 한 번쯤은 해 보고 싶은 것들을 정리한 목록을 의미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소망 목록'이라는 순화어를 제시했다. 어원은 '죽다'라는 의미의 '양동이를 차다(Kick the Bucket)'란 영어 관용어로, 유래는 굉장히 무서운 뜻을 가지고 있다. 목을 매고 죽을 때 양동이 위에 올라가서 목을 밧줄(노끈)에 걸고 양동이를 발로 차서 죽는 것에서 유래했다. 국내에서는 어느 순간 열풍처럼 버킷 리스트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버킷 리스트에 대한 예시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유명한 장소들을 여행하기, .. 2022. 4. 12. 증여세 자동계산 증여세 세율표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억이하 10% 1억 초과~5억이하 20% 10,000,000원 5억 초과~10억이하 30% 60,000,000원 10억 초과~30억이하 40% 160,000,000원 30억 초과 50% 460,000,000원 신고 기한 납부 재산을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월 이내 증여세 자동계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범위 부동산(순수토지, 공동주택, 개별주택, 일반건물, 상업용건물 및 오피스텔) 증여일 전 6개월 ‧ 후 3개월 이내 매매사례가액 등 시가가 있는 경우 해당 가액을 시가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제공 시가가 없는 경우 소재지, 면적 등을 입력하면 개별공시지가, 기준시가 등 보충적 평가액이 자동 계산되는 화면 제공 상장주식 시가(증여일 전후 2개.. 2022. 4. 5. 대한민국 헌법 21~35조 제21조 ①모든 국민은 언론ㆍ출판의 자유와 집회ㆍ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②언론ㆍ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과 집회ㆍ결사에 대한 허가는 인정되지 아니한다. ③통신ㆍ방송의 시설기준과 신문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④언론ㆍ출판은 타인의 명예나 권리 또는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언론ㆍ출판이 타인의 명예나 권리를 침해한 때에는 피해자는 이에 대한 피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제22조 ①모든 국민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가진다. ②저작자ㆍ발명가ㆍ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 제23조 ①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 ②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ㆍ사용 또는.. 2022. 4. 1. 알뜰폰 알뜰폰(MVNO)이 고객 체감 만족도에서 마침내 SK텔레콤(SKT)마저 추월했다. 최근 몇 년 사이 LG유플러스(LG U+)와 KT를 앞지른 데 이어 그동안 부동의 1위를 지켜온 SKT까지 따라잡으면서 통신3사(MNO)의 고객만족 아성을 완전히 뛰어넘었다. 알뜰폰 통신사 중에는 요금과 프로모션·이벤트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 리브M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 2019년 이후 통신3사 차례로 따돌려 알뜰폰 체감 만족률(% 10점 척도 중 7~10점)은 63%를 찍으며 처음으로 선두로 올라섰다. SKT가 작년 상반기에 이어 61%에 머무는 동안 3%포인트(p) 상승하며 순위를 뒤집었다. LG U+(51%), KT(44%)와는 각각 12%p, 17%p 차이를 벌렸다. 알뜰폰은 처음 조사에 포함된 2014년 만족.. 2022. 3. 31. 이전 1 ··· 11 12 13 14 다음 반응형